게이밍 노트북들중 CPU i7-9750H, GPU GTX 1660Ti 노트북 벤치마크를 비교해 보았습니다.
시네벤치(Cinebench) R20, 파이어스트라이크 점수를 비교하였습니다. 기기마다 뽑기가 있으므로 점수는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Asus: G731GU gu502gu
한성: BossMonster X7967T, TFG276ST
레노버: Y540-prime, Y540-blade
MSI: GP75 Leopard 9SD
HP: 15-dk0165TX
에이서: AN515-54
NTSC 72% 노트북들 벤치마크도 비교해 보았습니다.
sRGB 100%, NTSC 72% 노트북 추천 목록 정리
게이밍 노트북 벤치마크 비교 (9750H, 1660Ti)
재미로 해보는 무게당 파스점수 나눠보기
제가 시네벤치로 내림차순 정리를 한 이유가 있습니다. 보통 8세대 이후, 9세대 인텔 CPU들은 발열이 너무 심해서 원래 성능을 제대로 내지 못합니다. 발열로 인한 쓰로틀링으로 성능 다운이 일어나는데, 이것을 알아보기 쉬운게 시네벤치 R20입니다. 자체전력제한을 걸지 않는 이상 시네벤치 점수가 높을 수록 발열을 잘 잡아낸 노트북 이라고 생각하시는게 편합니다. 보통 보면 시네벤치 점수가 높으면 파스점수도 같이 높고, 실 게이밍 성능이 좀 더 나와주는 편입니다. 게임에서 cpu 로드율이 100%는 안되므로 항상 맞는 말은 아니지만 경향은 어느정도 맞아 떨어집니다.
파이어스트라이크 (파스) 점수는 실사용 게이밍시 성능을 가늠할수 있는 척도. 게임만 고려하는 사람들에게는 파스 점수 위주로 보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 소개된 게이밍 노트북은 전부 NTSC 72% 액정을 가지고 있습니다.
Asus 게이밍 노트북들의 발열제어가 잘되어 있는것으로 보입니다.
한성노트북은 표본수가 좀 부족했습니다. 점수가 꽤 높은편. (저 점수가 믿을만한지는...) 기기마다 뽑기가 존재하므로 벤치 점수는 다를 수 있습니다. AN515은 제조사가 자체 전력제한을 걸어놓았습니다. 기가바이트 어로스 7도 점수를 추가하고 싶었으나;; 후기가 존재하지 않았습니다.
2020.02.10 기준입니다.
추가사항
비싼건 비싼 이유가 있고
- ex) 디스플레이 품질, 가벼운 무게, 작은 크기, 얇은 두께, 튼튼한 내구성, 열방출 설계, PD 충전 유무, 라이트닝지원, AS 등등
싼건 싼 이유가 있다
- ex) 무겁고, 크고, 낮은 품질의 디스플레이, 낮은 내구성. 낮은 성능, AS가 거지같다거나...(은근 중요)
용도에 맞게 어떤 스펙을 버리고, 선택해서 최선의 가성비를 찾는게 중요.
특히 성능 같은 경우, 같은 부품을 쓰더라도 열방출 설계에 따라 성능이 30%이상 차이나는 경우도 봤다. 너무 싸다면 의심해보고 후기 찾아서 보자. 벤치마크, 실사용 후기 등등
'IT 관련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게임최적화 팁 (윈도우 설정 + 엔비디아 제어판 설정) (3) | 2020.02.17 |
---|---|
마우스 고주파음 해결방법+노트북 소리분석 (팬소음, 스피커) (1) | 2020.02.13 |
흑연 서멀패드 사용후기 (vertical graphite pro) (30) | 2020.02.09 |
다운클럭 vs 전력제한 비교 (시네벤치, 실사용 비교) (4) | 2020.02.09 |
sRGB 100%, NTSC 72% 노트북 추천 목록 정리 (17) | 2020.02.07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