흑연, 그라파이트라고 불리는 열전도도 90w/mk 서멀패드 (vertical graphite pro)에 대한 사용 후기 입니다.
지금 graphite를 사용한 제품으로는
곰써멀로 유명한 grizzly carbonaut 62.5w/mk. 두께 0.2mm
Innovation Cooling Graphite Thermal Pad 35w/mk, 두께 0.2mm
vertical graphite pro 90w/mk, 두께 0.25mm
가 있습니다.
일단 스펙상 vetical graphite pro가 열전도도 90w/mk로 압살합니다. 두께도 그나마 제일 두꺼워 적용이 상대적으로 쉽습니다. 구매는 일본아마존에서 직구. 한국으로 바로 배송됩니다.
써멀패드 특성상 고체표면 접촉이 100% 이루어 지지않기 때문에 이상적인 값의 1/4 정도만 사용하게 됩니다. (윗면 아랫면 50% 씩 접촉한다고 가정 했을 때)
그럼 계산해보죠.
일반적인 써멀 열전도율이 12w/mk 입니다. (서멀 구리스의 원리, 내부 성분 분석 [곰써멀, mx-4])
동일한 열전도율을 얻기위해서는 써멀패드가 최소 12×4 = 48w/mk 값을 가져야 합니다.
이것도 잘 적용했을때 이야기 이고, 접촉 면적의 불균일로 성능 저하까지 고려한다면 좀 더 넉넉한 값을 가져야 할껍니다. vertical graphite pro의 제조사에서도 실제 사용할때 열전도율은 40w/mk 근처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자세한 흑연패드의 원리가 궁금하다면 아래 글(링크) 참고를 해주시면 됩니다.
흑연패드 원리
흑연패드 적용기 (g531gu, i7 9750h, gtx1660Ti에 적용)
취급시 주의사항
- 배터리 전원은 꼭 빼고 작업하자 (참고: ASUS G731, G531 써멀 재도포. 하판 분해)
- 전도성 물질이기 때문에 부스러기가 보드에 떨어지지 않도록 하자. 부식은 일어나지 않으나, 쇼트 날 수 있다.
- 자를 때, 손으로 꾹 누르지 않도록 하자. 눌리면 안된다.
- 접착면이 존재한다. 앞뒤 구분 잘하자. (보호용 PET에 한면이 정말 살짝 붙어있음)
- 흑연패드의 효율은 얼마나 균일하게 잘 압착되었느냐가 포인트
- 히트싱크가 평평하지 않다면 적용에 고민을 해야 한다.
- 최대한 잘 눌릴 수 있도록 흑연패드를 재단하자.
- 재사용이 안된다. 열을 받은 부분과 결합하여, 분해시 찢어짐
히트싱크 모양(가운데가 오목함)으로 인해 GPU에 재대로 부착이 되지 않았다.!!!
GPU 히트싱크 모양이 오목하여 가운데 부분이 제대로 압착되지 않았다. GPU 온도가 살짝 높았던 원인.
가장자리 부분을 잘라내고 가운데 부분에만 흑연패드를 붙여 1시간 사용 후, 다시 분해
가운데 부분은 흑연패드(자투리 활용)를 붙이고, 가장자리 부분은 서멀구리스를 재도포함.
흑연 서멀패드 특징
- 유지력이 영구적이다. (TFX 서멀의 경우 한달감)
- 시간이 지날 수록 성능이 좋아진다.(노트북의 경우. 높은온도 일수록 흡착이 빨라짐)
- 부착 방식에 따라 효과가 천차만별이다. (접촉면적에 따라 특성차이 큼)
흑연 서멀패드 벤치마크 (TFX 서멀과 비교)
TFX 서멀의 경우 데스크탑에서는 유지기간이 길었지만, 온도가 높은 게이밍 노트북에서는 서멀 구리스의 유지력, 유지기간이 한달도 안돼서 다 굳어, 온도가 상승한것을 볼 수 있다.
흑연패드 벤치마크 추적 (3달째. 계속 업데이트 예정)
가운데 흑연패드 + 가장자리 서멀재도포 벤치마크
cpu는 전면적 흑연패드 사용.
gpu는 가운데 흑연패드, 가장자리 서멀구리스 사용
흑연패드 사용기 (다른 사용자들 링크)
https://cafe.naver.com/asusnf/52454
https://cafe.naver.com/asusnf/52089
https://cafe.naver.com/asusnf/51782
https://jisaku-pc.net/build/vgp.html(구글번역)
https://blog.naver.com/reason273/221246941324
https://cafe.naver.com/asusnf/52871
https://cafe.naver.com/prosumernote/297538 (6번 이상 다양한 방법으로 시도하신분....블로그에서 서로 장착방법에 대해 많이 의논하였는데, 장착 방법에 따른 다양한 결과들을 확인 가능하다. 엄청나게 많은 시도를 하셔서 이후에 시도하시는 분들에게도 참고가 많이 될듯하다. 두장 겹쳐서 붙이는것 보다 한장을 작게 잘라 제대로 밀착되게 붙이는것이 더 효과가 좋다.)Ps. 한성노트북카페가 팔리면서 원글이 삭제된 듯하다 ㅠㅠ 글은 살아 있는듯 한데...왜 가입이 풀려있지?;;
https://cafe.naver.com/asusnf/57298 (흑연패드 3달 이후 후기)
https://blog.naver.com/n40720/222024141550
노트북갤러리 '제오닉스' 님으로 흑연패드 검색하면 시공후기도 많이 나옵니다. 이분은 흑연패드 시공 장인이 되신것 같네요...ㄷㄷ 후기글 링크는 천천히 업데이트 예정입니다.
m.blog.naver.com/1119tkddn/222100451668
'IT 관련 > 컴퓨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마우스 고주파음 해결방법+노트북 소리분석 (팬소음, 스피커) (1) | 2020.02.13 |
---|---|
9750h, 1660Ti, NTSC 72% 노트북 벤치마크 비교 목록 (0) | 2020.02.10 |
다운클럭 vs 전력제한 비교 (시네벤치, 실사용 비교) (4) | 2020.02.09 |
sRGB 100%, NTSC 72% 노트북 추천 목록 정리 (17) | 2020.02.07 |
ASUS G731, G531 써멀 재도포. 하판 분해 상세 사용기 (1) | 2020.02.07 |
댓글